[Spring JPA] JPA 하이버네이트에서의 프록시
프록시 => 가짜객체 라는 것은 이미 스프링을 학습하면서 알게 되었고, 어떠한 장점들이 있는지는 기억이 난다.
JPA 하이버네이트에서도 프록시를 사용하고 있다. 사실 프록시 객체를 쓰는 이유는 지연 로딩을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프록시가 뭔지 한번 더 알아보고 하이버네이트에서는 어떻게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는지만을 알아 보도록 하자.
이러한 객체가 있을떄, Member를 참조할 때 Team도 함께 가져와야 하는것일까??
실제로,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다른데, Team을 필요로 한다면 당연히 가져와야 한다. 하지만, 필요로 하지 않는데 계속 가져오지 않는 것은 낭비로 이어진다.
JPA 에서는 이러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프록시 개념을 도입한다.
프록시란?
프록시는 대리의 의미를 가지는데 여기서는 프록시 객체가 실제 객체의 참조를 보관하다 실제 사용할 때 실제 객체에 접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실제 클래스를 상속 받아서 만들어졌다.
- 실제 클래스와 겉 모양이 같다.
- 프록시 객체는 실제 객체의 참조(target)를 보관한다.
- 프록시 객체를 호출하면 프록시 객체는 실체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한다.
em.find() vs em.getReference()
- em.find():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 객체 조회
- em.getReference():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미루는 가짜(프록시) 엔티티 객체 조회
Member 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id1”);
member.getName();
해당 코드를 호출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위와 같이 프록시 객체에 값이 있으면, 영속성 초기화를 요청하여 DB에서 값을 꺼내와 실제 엔티티를 생성한다.
만약 프록시 객체에 값이 있으면 바로 실제 엔티티로 접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록시는 실제 객체의 상속본이란 말을 하였다.
그래서 실제 객체에 대한 참조를 보관하기 때문에 실제 객체 타입 자리에 들어가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JPA에서 엔티티 생성을 위해 두가지 규칙이 생겼다.
1. 기본 생성자는 최소 protected 접근 제한자를 가져야 한다
2. 엔티티 클래스는 final로 정의할 수 없다
만약 기본 생성자가 private이면 프록시 생성 시 super를 호출할 수 없을 것이고, 엔티티를 final로 선언한다면 상속이 불가능 할 것이다.
프록시 식별자
엔티티를 프록시로 조회할 때 식별자(PK값)를 이용하여 파라미터로 전달한다. 프록시 객체는 이 식별자 값을 보관한다.
프록시 조회 시 getId()의 경우 내부에 식별자, 즉 pk 값이 어떤것인지 알고 있다. 그렇기에 해당 경우에는 프록시를 초기화하지 않는다. getName()의 경우 식별자 값이 아니기에 프록시 초기화 처리를 한다.
@Access(AccessType.PROPERTY) : 초기화 되지 않음
@Access(AccessType.FIELD) : 초기화 처리를 한다. JPA가 getId()메소드가 id만 조회하는 메소드인지 다른 필드까지 활용하여 다른 작업을 하는 메소드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